검색결과 리스트
글
태양광 발전소건립 관련
태양광발전사업(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 RPS)의 시공비용과 수익률에 관한 예상된 질문을 대략적으로 답을 아래와 같이 적습니다.
1. 태양광발전소 공사비용은 태양전지 모듈 가격이 좌우 합니다. 시공비용의 50%내외를 차지합니다.
달러환율, 태양전지 셀 가격의 영향을 받습니다. 그리고 특히 국외의 태양광발전시설의 용량과 태양전지 모듈 제조사의 생산량에서 수요와 공급의 차이에서 오르고 내리거나 보합상태에 놓입니다.
㉠토목비용 : 별도로 합니다. 태양광발전소의 시공비용을 환산을 할 적에 말입니다. 경사도,들어가고 나온 곳(요철)으로 평탄작업, 계단식 공사, 옹벽공사, 배수로,기타 등 변수가 많아서요(산림을 훼손이나 이전 시 비용도 포함).
㉡한전과 접속비용 : 태양광발전시설을 준공하여 한전에 매전을 하려면 즉, 계통연계를 하려면 발전소 용량(100KW이하는 저압 380V이하 연결, 100KW이상 고압 22,000V 삼상 연결)에 따라서 그리고 발전소와 전봇대와의 거리 등에 따라서 한전과 접속비용이 차이가 납니다.
㉢ 그리고 설계비용, 보험료, 제1금융권(예: 우리은행, 국민은행 등 기타)대출을 할 시에 드는 비용, 신용 혹은 기술보증기금의 비용,기타(안전검사 등) 고정비용입니다.
㉣ 기 본인의 토지가 이니고 발전사업을 하기 위해서 구입한 토지 구입 비용 등.
2.㉠,㉡,㉢,㉣사항은 태양광발전사업에 필요한 투자비용 즉, 자기 자본 비율로 환산을 합니다.
3. 위 사항을 우선 제외하고 순수한 태양광발전소 시공비용[태양전지 모듈,구조물(경사고정형),인버터,전기공사,울타리,행정실 및 인버터실,인건 및 장비비,기타)은
대략 1KW당 ±380만원을 잡습니다. 100KW이면 3억8천만원 내외가 됩니다. 이것은 변수 중 가장 크게 차지하는 태양전지 모듈 가격과 공급인증서 가격(RPS사업)에서 증감이 예상 됩니다.
나머지 것은 차이가 많이 나지 않습니다.
4.그리고 나머지는 역시 공급인증서 가격입니다. 작년(2010년도)에 입찰 기준 가격(최고 상한금액) KW당 400원 이였습니다. 그 아래로 써서 입찰의뢰를 하였습니다. 발전사업자는 공급인증서 가격하고 여기에 따라서 입찰의뢰 가격을 제시하는 것으로 수익성이 좌우 됩니다.
시공비용도 공급인증서 가격 하락율에 따라서 조정을 하여야 만이 수익성이 어느 정도 보장이 됩니다.
5.그리고 유가 및 석탄가의 영향으로 SMP 가격이 오르락 내리락 합니다. 지금은 대략 100~120원)KW당 입니다.
1KW당 한전에 매전으로 올릴 수 있는 수익은 4번 입찰가격과 5번의 SMP 가격의 합이 됩니다(예 : 입찰 낙찰가 380원 + SMP 110원 = 480원/KW당) 됩니다. 단, 공급인증서 가중치는 제외함.
※2011년도 신재생에너지 의무할당제(RPS)시범사업 공급인증서 가격은 곧 발표를 할 예정입니다(하락예상)
[예상 결론] ⓐ 2번의 자기자본과 ⓑ 3번의 시공비용을 대출을 할 시에 전체 시공비용에서 자기가 투자할 비용 즉 현금이 5~20%가 들어가고 못 들어가고로 인하여 수익율이 많이 떨어집니다.
즉 이자비용이 많이 발생여부가 판가름이 나겠지요.
발전사업자의 입장에선 ⓐ와ⓑ를 잘 해야 합니다. 의지나 생각만으로 하지 마시고 자신의 능력(자금)을 잘 판단하시기 바랍니다.
나머지 윗 사항은 저희 같은 전문 기업에서 잘 대응을 하고 있습니다. 걱정은 마시고요.
수익율은 ⓐ와 ⓑ의 자기 자본 투자 비용의 대략 ±8%라고 보시면 됩니다. 은행에 정기예금 보다는 조금 더 나은 수익율로 보시면 무난할 겁니다.
위와 같은 내용은 지면에 잘 올리지 않습니다.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더 나은 내용 질문이 있으면 쪽지나 e메일로 바랍니다. bko79@naver.com sjj9191@hanmail.net 010-3678-4344, 서정진 배상
[추신]공급인증서 가중치는 별도로 적어서 올리겠습니다. 다음 글에